[공간 리뷰] 바흐 '요한 수난곡'으로 수난절의 의미를 되새기다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는 6일, 바흐의 걸작 '요한 수난곡'이 울려 퍼졌다. 이번 공연은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과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이 주최하고, 김선아가 지휘를 맡아 최근 별세한 한국 합창음악계의 대부 고(故) 나영수 교수를 추모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요한 수난곡'은 바흐가 작곡한 수난곡 중 하나로, '마태 수난곡'과 함께 양대 산맥을 이룬다. 이번 공연에서는 바흐의 음악을 통해 수난절의 깊은 의미를 전달하고자 했다. 공연은 파울 게르하르트가 작사한 코랄 부분을 중심으로, 원어와 우리말로 교차하여 연주됐다.
이날 공연은 '요한 수난곡'의 초연 3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한 의미도 담고 있었다. 작품은 바흐의 대표작 중 하나로, 드라마틱한 진행과 강렬한 연주 효과, 군중 합창의 다채로움이 특징이다. 김선아 지휘자와 공연에 참여한 모든 연주자들은 이러한 특징을 살려 수난절의 감동을 관객에게 전달했다.
공연은 시대별 변화를 따라 총 5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색채의 빛'과 '지지 않는 빛' 부분에서는 한국 고유의 색을 활용한 원색의 빛을 표현한 작품들과 신작들이 소개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은 깊이 있고 경건한 코랄 부분의 해석으로 묵상의 시간을 선사했다.
다만 극적인 강렬함을 더욱 부각시켜야 하는 일부 장면에서는 언어의 추동력이 다소 부족했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공연장의 공명 특성과 관련 있으며, 더 강한 추동력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번 공연은 한국 합창음악의 선구자 고 나영수 교수를 추모하며, 수난절의 깊은 의미를 되새기는 데 중점을 두었다.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은 고음악 분야에서 꾸준한 연주 수준의 향상과 관객 저변 확대를 이루며 성장해왔으며, 이번 공연을 통해 그 성과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