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서울 13.7ºC

Search Icon
banner
logo
banner
logo
국립민속박물관, 30년 간의 소장품 역사를 담은 '유물 수집 30년' 발간
공간

국립민속박물관, 30년 간의 소장품 역사를 담은 '유물 수집 30년' 발간

김태규 기자
입력

국립민속박물관이 개관 3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30년간 수집해온 소장품들을 한데 모은 도록 '유물 수집 30년'을 발간했다. 이 도록은 박물관이 소장한 17만여 점의 유물 중 엄선된 400여 점을 담고 있으며, 민속학 연구의 변화와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준다.

5f86e728df2757bdabc3c6b1553962c3
하피첩

특히 주목할 만한 소장품 중 하나는 다산 정약용이 1810년 강진 유배 시절 쓴 '하피첩'이다. 이 첩은 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존재가 드러난 후 경매를 거쳐 국립민속박물관의 품에 안겼다. '하피첩'은 사무치는 그리움을 담은 문학 작품으로, 다산의 심경과 당시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또한, '박래욱 일기'는 1950년부터 2005년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쓴 일기로, 총 98권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으로 한국 기네스북에 올랐다. 이 일기는 격동의 현대사를 살아온 개인의 흔적을 담고 있으며, 박물관에 기증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83d84c4c52c48d5d73a149fd6734b841
박래욱 일기

이외에도 국내 최초의 진공관 라디오, 청바지, 한국 최초의 고유 모델인 포니 픽업트럭 등 근현대 생활사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들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보물 '경진년대통력', 금빛 사자 문양의 '남양주 16세기 여성 묘 출토복식' 등도 이 도록에서 만나볼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관계자는 "이 도록을 통해 전통사회의 민속유물부터 근현대 생활유물, 세계의 다양한 민속유물에 이르기까지, 우리 박물관의 소장품 수집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소장품 도록은 박물관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국립민속박물관이 그동안 수집해온 소장품들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민속학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태규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