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콘택트렌즈 착용 시 체내 유해화합물 농도 증가
유현준 기자
입력
가

콘택트렌즈 착용이 체내 유해 화합물인 과불화화합물(PFAS)의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고려대학교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케모스피어(Chemosphere)'에 게재됐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30대 1660명 중 콘택트렌즈 사용자들의 체내 혈중 과불화화합물 농도가 비사용자에 비해 평균 1.2배 높게 나타났다. 최윤형 고려대 보건환경융합과학부 교수와 김동현 의학부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를 통해 콘택트렌즈 착용과 PFAS 농도 간의 관련성을 확인했다.
PFAS는 탄소와 불소로 구성된 인공물질로, 물과 기름을 막는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 물질은 자연 분해가 어려워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며, 장기간 노출 시 갑상선 질환, 임신성 고혈압, 신장암, 정소암, 당뇨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콘택트렌즈 사용자 중 과불화옥탄산(PFOA)에 노출된 비율이 4.5%로 나타났으며, 비사용자 중에서는 3.9%가 PFOA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결과는 콘택트렌즈 사용이 PFAS 노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최윤형 교수는 "콘택트렌즈는 다양한 제품이 존재하지 않아 소비자가 과불화화합물의 위험성을 인지하더라도 안전한 제품을 선택할 기회가 없다"며 정부 차원에서의 환경 유해 물질 규제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현준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