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 후유증, 운동 능력 저하 원인 규명

코로나19 감염 이후 장기적인 후유증을 겪는 이른바 '롱 코비드'(Long Covid) 환자들이 겪는 운동 능력 저하의 원인이 밝혀졌다.
네덜란드 프리제 대학의 롭 뷔스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4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해당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롱 코비드 환자들은 운동 후 오랫동안 근육통과 피로를 경험하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 기간 동안 발생한 생물학적 변화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은 롱 코비드 환자 25명과 코로나19 완치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혈액 및 골격근 조직검사를 실시했다. 이들은 자전거 운동 후 하루 뒤에 다시 조직검사를 받았다. 검사 결과, 롱 코비드 환자들은 운동 전 근육 내 속근의 비중이 완치 환자들보다 높았으며, 이들의 미토콘드리아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롱 코비드 환자들의 골격근에서는 아밀로이드라 불리는 단백질 덩어리가 더 많이 발견되었다. 이는 롱 코비드 환자들이 운동 후 회복 과정에서도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태임을 시사한다.
운동 전후 검사에서 롱 코비드 환자들은 운동 후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저하되고, 조직 손상이 완치 환자들보다 심했다. 뷔스트 박사는 이러한 근육 손상과 신진대사 악화가 롱 코비드 환자들이 겪는 오랜 근육통과 피로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롱 코비드 증상이 있는 경우 격렬한 운동을 피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옥스포드 대학의 베티 라만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개선하는 치료법이 유익할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라만 교수는 피로가 대사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지속적인 염증 등 다른 요인도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