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서울 13.7ºC

Search Icon
banner
logo
banner
logo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의료 인재 11만명 양성할 것"
건강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의료 인재 11만명 양성할 것"

이병호 기자
입력
3008310b40f2221e3419815e97e5ab02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주재하는 한덕수 총리">

한국 정부가 2027년까지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2건을 개발하고, 바이오헬스 분야의 핵심 인재 11만 명을 양성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논의되었다.

한 총리는 바이오헬스 시장의 세계적 경쟁 상황을 언급하며, 민관 합동의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헬스혁신위를 통해 국가 차원의 지원과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혁신위는 한 총리를 비롯한 12개 중앙행정 기관장과 민간위원 17명으로 구성되었다.

한 총리는 "세계 각국은 미래 산업을 주도할 바이오헬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이미 국가 차원의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며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인 바이오헬스혁신위를 통해 현장이 체감하는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내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혁신위의 주요 목표는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혁신 신약 2건 창출 ▲바이오헬스 수출 2배 달성 ▲선도국 대비 기술 수준 82% 달성 ▲바이오 연구 빅데이터 100만 명 구축 및 개방 ▲바이오헬스 핵심인재 11만 명 양성 등이다. 

이를 위해 한국형 아르파-H 프로젝트를 통한 2조원 규모의 도전적 R&D 투자, 보스톤-코리아 프로젝트를 통한 공동 연구 및 인력 양성, 국가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의사과학자에 대한 전주기 지원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혁신위는 의사과학자의 배출 수준을 선진국 수준인 3%로 단계적 확대하고, 이들에 대한 연구비 지원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러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과 규제 철폐를 통해 산업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번 계획의 성공적 수행은 한국이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관계자는 "교육의 자율성과 유연성이 높아지면 의사과학자를 양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들이 통합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학부 과정에서부터 연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커리큘럼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포인트, NEWSPOINT

이병호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