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서울 13.7ºC

Search Icon
banner
logo
banner
logo
국민 3명 중 1명, 자신의 고독사 가능성 높다고 느껴
건강

국민 3명 중 1명, 자신의 고독사 가능성 높다고 느껴

이병호 기자
입력

20754e0336adb1025c3174774ea56c41

고독사가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주목할 만한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진행한 '고독사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 남녀가 생각하는 자신의 고독사 확률은 평균 32% 정도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고독사 가능성을 0%에서 100% 사이로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전체 평균으로는 32.3%의 고독사 가능성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 중 38.9%는 고독사 가능성을 20% 미만으로 봤고, 40∼60% 미만이라고 응답한 이들은 22.3%, 20∼40% 미만은 20.1%였다. 반면, 10명 중 1명꼴인 9.2%는 본인의 고독사 가능성이 80% 이상이라고 생각했다.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남성은 평균 30.21%, 여성은 34.35%로 자신의 고독사 가능성을 더 높게 평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39.53%로 가장 높게 고독사 가능성을 인식했고, 이어 40대 33.16%, 50대 32.01%, 60대 이상 29.84%, 19∼29세는 29.58% 순이었다.

주거 형태나 경제적 지위, 혼자 사는 여부 등도 고독사 가능성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월세 거주자는 43.27%, 전세는 31.22%, 자가 거주자는 29.12%로 응답했다. 1인 가구의 경우, 자신의 고독사 가능성을 45.05%로 높게 봤고, 가구 구성원 수가 늘어날수록 이 비율이 줄어들었다.

결혼 상태에 따른 차이도 뚜렷했다. 별거, 이혼, 사별한 응답자는 고독사 가능성을 45.17%로, 연인이 없는 미혼은 42.80%, 연인이 있는 미혼은 33.83%, 기혼은 25.94%로 응답했다.

직업과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도 있었다. 일용직 근로자와 월평균 가구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응답자는 각각 41.71%, 44.94%로 고독사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반면, 정규직과 월평균 600만원 이상 소득자는 각각 28.64%, 25.76%로 낮게 평가했다.

이 조사에서 눈에 띄는 점은 가족이 있어도 고독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58.3%에 달했고, 모든 연령대에서 고독사가 발생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84.3%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는 고독사가 개인적인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응답자의 82.1%가 고독사를 사회적 문제로 보는 반면, 23.5%만이 개인적 문제로 인식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 사회가 고독사 문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이 문제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대책과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뉴스포인트, NEWSPOINT

이병호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