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서울 13.7ºC

Search Icon
banner
logo
banner
logo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2023년 서울형 심리부검 정책 세미나 성료…
문화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2023년 서울형 심리부검 정책 세미나 성료…

김수빈 기자
입력
아동청소년기 학대 및 폭력피해경험이 성인의 자살문제로 연결 초중고 및 대학교 정신건강 교육 및 가정·직장에서 상처주지 않는 대화교육 시급
45630f8eda8db891d497439faf55e5f8
▲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11월 20일(월) 오후 2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2023년 서울형 심리부검 정책 세미나’를 개최했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센터장 김현수)는 11월 20일(월) 오후 2시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2023년 서울형 심리부검 심리부검 정책 세미나’가 유족 및 정신건강에 관심 있는 실무자와 시민 등 총 150여명 참여한 가운데 온라인과 현장에서 진행됐다고 밝혔다.

심리부검은 자살유족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고인의 사망에 영향을 끼쳤을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고인의 삶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과정이다. 유족이 고인의 삶을 정리할 기회를 마련하면서, 자살사망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살예방정책 수립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이번 심리부검에서 서울의 자살자 하위 유형은 크게 △정신건강 및 학교 스트레스 잔존형 자살자(48%) △직장 및 경제 위기 자살자(34%) △복합형 스트레스 자살자 (18%)로 나눌 수 있었다. 각각의 유형에 대한 맞춤형 개입이 필요해 정신건강 및 학교 스트레스형 자살자에게는 학교 정신건강 교육의 중요성, 경제 위기 자살자에게는 경제적 지원의 중요성, 복합형 스트레스 자살자에게는 다양한 돌봄과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이 큰 상황임을 알려줬다.

세미나에서 김현수 서울시자살예방센터센터장은 ‘서울형 심리부검에 따른 자살예방정책의 실천’ 주제 발표를 통해 서울형 심리부검 결과에서 서울시민의 전반적 삶 가운데 만연하는 장기적·만성적·부정적인 스트레스, 특히 중장년 자살자들에게도 높은 아동기의 학대 경험이 △부정적인 학교 경험 △높은 직장 스트레스 등의 자살 문제로 연결돼 아동기부터 스트레스 대처 교육과 개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교에서의 정신건강 교육 및 생애주기별 개입, 직장과 지역에서의 상담소 설치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세미나는 세계 자살유족의 날(International Survivors of Suicide Loss Day)을 기념하며 서울형 심리부검 결과에 기초해 자살유족이 고인의 삶을 건강하게 애도하며, 유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자살예방 전략을 수립하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앞으로 서울형 심리부검 및 정책적 제안이 사회적으로 이뤄지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뉴스포인트, NEWSPOINT

김수빈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