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PNG

서울 13.7ºC

Search Icon
banner
logo
banner
logo
현대차·기아, 운영체제 플랫폼사와 협업해 OS 기반 ‘디지털 키 2’ 서비스 방식 도입
공간

현대차·기아, 운영체제 플랫폼사와 협업해 OS 기반 ‘디지털 키 2’ 서비스 방식 도입

최병호 기자
입력
수정2023.10.20 18:10

6b34aed08b56e72e21c154ec95317b71
▲ 현대차·기아, 운영체제 플랫폼사와 협업해 OS 기반 ‘디지털 키 2’ 서비스 방식 도입

뉴스포인트 최병호 기자 | 현대차,기아가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간 '디지털 키 2(Digital Key 2)'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인다. 

현대차,기아는 삼성과 구글, 애플사와의 협업을 통해 호환성과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디지털 키 2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기존에는 스마트폰 제조사가 제공하는 앱(App)을 통해 서비스됐으나, 새로 선보이는 디지털 키 2는 안드로이드(Android)와 iOS 같은 운영체제 기반으로 재편, 스마트폰 제조사와 상관없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환경을 갖추게 됐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디지털 키 2는 스마트폰의 초광대역 무선통신(Ultra-Wide Band, UWB)을 활용한 첨단 고객 편의 서비스로, 스마트키 없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워치를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차량의 문을 열고 시동을 걸 수 있는 기능이다. 

새로운 방식의 서비스 도입으로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에서만 지원되던 디지털 키 2 서비스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됐고 향후 지원 가능한 스마트폰 기종이 지속 확대될 예정이다. 

※ 디지털 키 2 서비스 지원 대상 스마트폰 기종은 추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별도 안내 예정 

특히, 안드로이드와 iOS 등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이용자와 디지털 키를 자유롭게 공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가족 간에는 물론 대리운전이나 발렛주차 이용 시 스마트폰 운영체제 제약 없이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디지털 키를 공유할 수 있게 돼 활용 여건이 크게 개선된다. 

신규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는 고객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운영체제와 디지털 키 2 서비스 앱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거나 기존 디지털 키를 삭제하고 차량에 재등록한 뒤 이용이 가능하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서비스 개편으로 디지털 키 2를 선택한 다수의 고객에게 높은 만족감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출시한 신형 그랜저 기준으로 디지털 키 2 사양을 선택한 고객의 비중은 90%에 육박하고 있다(개인 고객 기준). 

현대차,기아는 완성차 업계 최초로 삼성과 애플의 비접촉식 디지털 키 2 기능을 GV60에 탑재한 이후 다양한 모델에 확대 적용하고 있다며, 운영체제 플랫폼사와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앞으로도 소비자의 편의 증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병호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